반응형
반응형
영화 '서울의 봄'이 2023년 북미 박스오피스에서도 한국영화 개봉작 중 최고 흥행 스코어를 기록했다. 11월 말 북미에서 순차적으로 개봉한 '서울의 봄'은 12월 1일부터 12월 28일까지 4주간 매출 1백만 달러를 돌파했다. 이는 6주간 91만 달러의 매출을 달성한 '범죄도시3'를 뛰어넘은 성적으로, 2023년 북미에서 개봉한 한국영화 박스오피스 1위 기록이다. 북미 최대 명절인 추수감사절과 크리스마스 연휴가 있는 11월 말부터 12월 말까지 10편이 넘는 할리우드 대작들 사이에서 경쟁해야 하는 조건 속에서 개봉한 '서울의 봄'은 LA 3개의 상영관에서 시작해 점차 입소문을 탄 호평 속에 상영관 수가 점점 증가해 현재 50개가 넘는 상영관에서 북미 관객들을 만나고 있다. 이는 북미에서 개봉한 한국영화..
'서울의 봄'이 '내부자들'을 뛰어넘고 역대 11월 개봉 최고 스코어를 기록했다. 27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 집계에 따르면 '서울의 봄'은 개봉 첫 주 누적 관객 수 189만2,688명을 돌파하며 5일째 놀라운 흥행 저력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올여름 총 514만 관객을 동원한 영화 '밀수'(2023)의 개봉주 누적 관객 수(172만 명)를 뛰어넘는 수치로, 올해 개봉작 중 '범죄도시3' 이후 개봉주 최고 스코어다. 또한 개봉주 누적 관객 수 160만 명을 동원한 '내부자들'(2015)을 비롯해 역대 11월 개봉 한국영화의 개봉주 스코어 역시 모두 뛰어넘어, '서울의 봄'의 흥행 신드롬이 어디까지 이어질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개봉 2주차를 맞이한 '서울의 봄'은 주요 극장 3사에서 ..
'프레디의 피자가게'가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16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 집계에 따르면 '프레디의 피자가게'는 지난 15일 48,561명의 관객을 모아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2023년 개봉된 공포영화 중 전체 박스오피스 1위에 오른 것은 '프레디의 피자가게'가 최초다. 또한 2019년 말 코로나 시기에 접어든 이후 개봉한 할리우드 오리지널 공포영화 중 유일하게 전체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프레디의 피자가게'는 80년대에 아이들이 실종되고 폐업한지 오래된 '프레디의 피자가게'에서 야간 경비를 서게 된 마이크가 피자가게 마스코트들의 기괴한 실체를 목격하게 되면서 벌어지는 서바이벌 호러테이닝 무비다. '헝거게임: 노래하는 새와 뱀의 발라드'는 22,419명을 모아 2위를 기록..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가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30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 집계에 따르면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는 29일 하루 동안 21만3,149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누적 관객수는 94만7,982명이다.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신비로운 세계에 우연히 발을 들인 소년 마히토가 미스터리한 왜가리를 만나 펼쳐지는 시공초월 판타지 애니메이션으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신작이다. 개봉 첫 날 25만 명을 동원하며 1위로 출발했던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는 호불호 갈리는 서사에도 불구하고 5일 연속 1위를 지키며 100만 관객 돌파를 앞두고 있다. 강하늘, 정소민 주연의 코믹 로맨스 '30일'은 5만4,192명..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가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24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 집계에 따르면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는 23일 하루 동안 25만5,232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1위에 올랐다.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신비로운 세계에 우연히 발을 들인 소년 마히토가 미스터리한 왜가리를 만나 펼쳐지는 시공초월 판타지 애니메이션으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신작이다. 지브리 특유의 감성과 비주얼, OST를 확인할 수 있지만, 서사에 있어서는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라 앞으로의 흥행 추이는 지켜봐야 할 듯 하다. 신혜선, 이준영 주연의 '용감한 시민'은 3만6,664명을 모으며 2위로 출발했다. 누적 관객수는 3만9,668명이다. '용감한 시민'은 불의는 ..
'30일'이 드디어 100만 관객을 넘어서며 박스오피스 1위를 굳건히 지켰다. 15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30일'은 지난 14일 하루 동안 138,678명의 관객을 모아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누적 관객수는 109만2,895명이다. 개봉 12일 연속 박스오피스 정상을 차지함과 동시에 12일 만에 100만 고지를 넘어선 것. 예매율 역시 1위다. '30일'은 드디어 D-30, 서로의 찌질함과 똘기를 견디다 못해 마침내 완벽하게 남남이 되기 직전 동반기억상실증에 걸려버린 '정열'(강하늘)과 '나라'(정소민)의 코미디 영화다. 2위는 홍사빈, 송중기, 김형서가 출연한 '화란'으로 같은 날 36,401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누적 관객수는 135,178명이다. '화란'은 지옥 같..
정유미, 이선균 주연의 '잠'이 개봉과 동시에 전체 박스오피스 1위에 등극했다. 7일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잠'은 개봉 첫날 79,435명을 기록했다. 누적 관객수는 87,543명이다. 이는 박스오피스 1위 기록으로, '잠'은 지난 8월15일 개봉한 '오펜하이머' 이후 23일 만에 1위를 차지한 한국 영화다. '잠'은 행복한 신혼부부 현수와 수진을 악몽처럼 덮친 남편 현수의 수면 중 이상행동, 잠드는 순간 시작되는 끔찍한 공포의 비밀을 풀기 위해 애쓰는 두 사람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 앞서 봉준호 감독이 "최근 10년간 본 영화 중 가장 유니크한 공포 영화. 순수한 영화적 힘을 가진, 작고 단단한 보석 같은 영화"라는 극찬을 전해 '잠'의 저력을 예고한 바 있다. 박스오피스와 예매율 1위를 ..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의 영화 '오펜하이머'가 총 1조원 상당의 티켓 수입을 올렸다. 4일(현지시간) 미국의 영화흥행 집계사이트 박스오피스 모조에 따르면 '오펜하이머'는 지난 7월 21일 개봉 이후 전날까지 미국을 비롯한 세계 시장에서 총 8억5298만4000달러(약 1조1255억원) 수입을 거뒀다. 북미 수입이 3억1027만1000달러(약 4094억원), 그 외 세계 시장 수입이 5억4271만3000달러(약 7162억원)에 달했다. 미 매체 버라이어티는 "말이 많은 과학자와 정치인들의 음산한 방에서 주로 펼쳐지는 어두운 R등급(17세 이하는 부모 등 성인을 동반해야 관람 가능) 전기 역사물이 예상을 깨는 흥행 기록을 세우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영화에 투입된 제작비는 1억 달러(약 1320억원) 규모로..
'오펜하이머'가 광복절 55만 명을 동원하며 박스오피스 1위로 출발했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도 200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16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오펜하이머'는 지난 15일 하루 동안 55만2천942명의 관객을 동원해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신작인 '오펜하이머'는 세상을 구하기 위해 세상을 파괴할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천재 과학자의 핵개발 프로젝트를 다룬 작품으로, 예매 오픈 즉시 아이맥스 매진 행렬을 이루며 큰 기대를 모았다. 특히 개봉 직전에는 사전 예매량 52만 명을 넘어서 놀라움을 자아냈다. 16일 오전 6시 기준 61.2%로 예매율 1위, 예매량 30만 명을 기록하고 있다. 2위는 '콘크리트 유토피아'로, 같은 날 ..
'스즈메의 문단속'은 우연히 재난을 부르는 문을 열게 된 소녀 '스즈메'가 일본 각지에서 발생하는 재난을 막기 위해 필사적으로 문을 닫아가는 이야기를 담은 일본 애니메이션이다. '너의 이름은.', '날씨의 아이'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신작으로, 13일째 1위를 지키고 있다. 특히 올해 개봉작 중 '더 퍼스트 슬램덩크'에 이어 두 번째로 200만 관객 돌파에 성공했다. https://www.joynews24.com/view/1577273 [순위표] '스즈메의 문단속', 200만 돌파…13일째 압도적 1위 '스즈메의 문단속'이 200만 돌파에 성공했다. 21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스즈메의 문단속'은 지난 20일 하루 동안 6만2천960명의 관객을 모아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 ww..